[란코프] 북한의 포탄 수출
Description
<figure class="image-richtext image-left captioned" style="width:200px;">
<figcaption class="image-caption">란코프 교수</figcaption>
</figure>
최근에 북러 관계가 많이 좋아졌습니다. 물론 러시아도 북한도 각각 미국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은 양측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이유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이유도 있는데요. 바로 무기 및 포탄 거래입니다. 이 거래는 북한 정권이 큰돈을 벌게 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지 벌써 2년 1개월 되었습니다. 원래 러시아 군대는 우크라이나 군대보다 병력이 훨씬 많습니다. 전쟁 초반 러시아는 몇 주 이내에 우크라이나를 제압하고 그곳에 친러시아 위성정권을 세울 자신감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군대는 생각보다 잘 싸웠고, 이 전쟁은 제1차 세계대전과 비슷한 참호 전쟁이 되어 버렸습니다.
100년 전에도 지금도 참호 전쟁을 할 때 제일 중요한 것은 포병 및 포탄일 것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세계 강대국들은 세계 어디서나 대규모 전쟁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선 무기생산, 특히 포탄과 같은 구식 무기의 생산을 많이 줄였습니다. 그 때문에 러시아는 지금 포탄이 모자라서 해외에서 포탄을 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문제는 러시아와 관계가 나쁘지 않고 필요한 만큼 대구경 포탄을 가지고 있는 나라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중국이 포탄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말로는 러시아를 지지한다고 하지만, 러시아와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중국 입장에서 미국과 유럽 국가와의 무역은 러시아와의 무역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은 러시아로 포탄을 보낼 생각이 없습니다.
결국 러시아로 포탄 수출이 가능한 나라는 북한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물론 포탄 거래 규모는 러시아 측도 북한 측도 극비에 부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성사진의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데요. 북한이 러시아로 수출할 수 있는 포탄은 최소 100만개, 최대 300만 개로 추정됩니다. 포탄을 국제시장 가격보다 훨씬 싸게 판다고 해도, 북한은 수십 억 달러를 쉽게 벌 수 있는 겁니다.
북한 입장에서 보면 이 돈은 갑자기 생긴 큰 수입입니다. 그 수입 중 일부는 무기개발이나 특권계층의 소비로 낭비되겠지만 일반 평백성들도 얻을 게 없지는 않을 것입니다. 비록 무기 무역으로 얻은 돈이라도 북한 주민 생활이 어느 정도는 좋아질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포탄 무역은 한계가 있습니다. 북한은 지금 생산한 지 오래된 포탄을 러시아로 수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 창고에서 이러한 포탄이 많다고 해도, 이 포탄들은 조만간 바닥을 드러낼 것입니다.
물론 러시아 입장에서 보면 참호 전쟁에서 싸울 때 포탄은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래서 러시아는 아마 북한의 포탄 생산을 후원하고 북한이 새로 만든 포탄을 더 많이 수입할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북한의 생산능력이 그리 좋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은 창고에 있는 포탄을 다 팔아버린 다음에는 수출 규모도 작아질 것이며 포탄 수출로 버는 돈도 많이 줄어들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전쟁은 영원한 것이 아닙니다. 전쟁이 끝난 다음 러시아는 북한에서 포탄 수입을 멈출 것입니다. 그 때문에 지금 북한이 갑자기 벌게 된 큰 돈은, 사실상 복권에 당첨된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나쁜 것이 아닙니다만, 많은 사람의 경험이 잘 보여주듯이 복권으로 돈을 많이 얻은 사람 대부분은 이렇게 갑자기 생긴 큰 돈을 제대로 쓰지 못했습니다. 북한은 이렇게 번 돈을 잘 투자해서 장기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이 돈을 어떤 필요 없는 건물이나 동상을 만드는 데 낭비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몇 년 후에 알게 될 것입니다.
** 이 칼럼 내용은 저희 자유아시아방송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

![[란코프] 북한의 포탄 수출 [란코프] 북한의 포탄 수출](https://www.rfa.org/++plone++rfa-resources/img/rfa-logo-400.jpg)


